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듀얼 모니터에서 크롬 창이 엉뚱한 화면에 열릴 때 해결하는 가장 쉬운 방법

by jinoling222 2025. 6. 11.
반응형

듀얼 모니터에서 크롬 창이 엉뚱한 화면에 열리는 문제를 설정 없이 간단히 해결하는 가장 쉬운 방법을 소개합니다.

듀얼 모니터 환경을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 겪었을 상황이 있습니다. 크롬이나 다른 프로그램을 실행했을 때, 분명히 메인 모니터에서 사용하던 프로그램이 갑자기 확장 모니터에 열리거나, 반대로 작업 중이던 화면이 아닌 엉뚱한 곳에 창이 뜨는 문제입니다. 특히 재부팅 후 이런 문제가 반복되면 꽤나 불편합니다.

듀얼 모니터에서 크롬 창이 엉뚱한 화면에 열릴 때 가장 쉬운 해결법을 안내하는 썸네일. 왼쪽 모니터에 크롬 창이 보이고 오른쪽으로 화살표가 이동하며 아래에는 ‘가장 쉬운 해결법’ 문구가 강조되어 있음.
주모니터

이런 현상은 시스템 오류가 아니라 윈도우 운영체제가 '마지막으로 닫은 창의 위치'를 기억하는 방식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 크롬을 보조 모니터에서 닫았다면 다음 실행 시에도 동일한 위치에서 열리는 것이죠.

 

 

윈도우는 창의 ‘마지막 위치’를 기억한다

윈도우 10과 11 모두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어디서 닫았는지를 기억합니다. 이 동작은 윈도우의 일반적인 사용자 경험(UX) 설계 철학에 기반한 것이며, 멀티 모니터 환경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사용자는 “마지막에 사용하던 곳에서 이어서” 작업할 수 있다는 개념이죠. 하지만 이 편의 기능이 때로는 혼란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가장 간단한 해결책: ‘닫는 위치’ 통제하기

복잡한 설정 없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크롬이나 프로그램 창을 항상 주 모니터에서 닫는 것이 핵심입니다. 그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크롬을 주 모니터로 드래그합니다.
  • 최대화하지 말고 원하는 위치와 크기로 조절합니다.
  • ‘X’ 버튼을 눌러 종료합니다. 최소화나 Alt+F4는 위치 기억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닫으면, 다음에 크롬을 실행했을 때 동일한 위치인 주 모니터에서 창이 열리게 됩니다. 매우 단순하지만 효과적인 방식입니다.

 

 

부가 팁: 주 모니터 설정 확인

간혹 보조 모니터가 ‘기본 디스플레이’로 설정되어 있어서 프로그램들이 자꾸 그쪽에서 열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럴 땐 디스플레이 설정을 확인하세요.

  1. 바탕화면에서 우클릭 → 디스플레이 설정 클릭
  2. 모니터 번호 확인 후, 메인으로 사용하고 싶은 모니터 선택
  3. ‘이 디스플레이를 기본 모니터로 설정’에 체크

이 설정을 통해, 작업 표시줄과 기본 창 생성 위치도 함께 주 모니터로 고정됩니다.

복잡한 설정 없이 할 수 있는 이유

DisplayFusion 같은 창 위치 제어 전문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모니터별 위치 지정, 창 고정, 실행 자동화 등 다양한 기능을 설정할 수 있지만, 단순히 “크롬이 주 모니터에서만 열리게 하는 것”이라면 위 방식이면 충분합니다.

그 외 고급 사용자 팁 (선택 사항)

  • AutoHotKey를 이용해 크롬 실행 시 주 모니터로 위치 고정
  • Logitech Options 또는 Razer Synapse 등 마우스 소프트웨어를 통해 DPI 조절 및 창 위치 자동화
  • 고정된 해상도와 배율 사용: 각 모니터의 배율이 다를 경우 창 위치가 뒤틀리는 문제를 피할 수 있음

 

 

추천 조합: 크롬 + 작업 습관

크롬을 자주 사용하는 환경이라면, 아래 조합을 추천합니다:

  • 기본 모니터에서 크롬을 열고 닫는 습관
  • 창 크기 기억 기능을 활용하여 원하는 레이아웃 고정
  • 단축키 Ctrl+Shift+T 로 창 복구 시 위치를 유지하는 기능 활용

이러한 습관만으로도, 번거로운 창 위치 이동 문제를 거의 해결할 수 있습니다.

 

 

설정보다 ‘행동’이 우선

특별한 프로그램 설치 없이, 단순히 창을 닫는 위치만 주의해도 크롬이나 대부분의 프로그램 창을 원하는 모니터에 고정시킬 수 있습니다. 매번 마우스로 창을 끌어오거나, 화면을 전환하는 수고를 줄이고 싶다면 이 간단한 습관을 실천해 보세요. 기술적인 해결이 아니라 사용자의 행동 패턴 변화로 문제를 푸는 방식이지만, 실효성은 매우 높습니다.

반응형